알림
뒤로
알림 설정
뒤로
더보기
게시물 알림
내 글 반응
내가 작성한 게시물이나 댓글에 다른 사람이 댓글이나 답글을 작성하면 알려줍니다.
공지사항
사이트에서 보내는 중요한 공지를 실시간으로 알려줍니다.
  • Alarm
    프로필 정보수정
  • 마이페이지 로그아웃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 WORK
    • Film
    • Performance
    • Machine Design
    • Photography
    • Graphic Design
    • Book Design
  • ABOUT
  • SDS
    • about
    • article
    • workshop
    • lecture
    • open call
    • exhibition
  • ĆP GALLERY
  • SHOP
  • COLUMN
  • PRESS
  • CONTACT
Céline Park Céline Park Céline Park
  • WORK
    • Film
    • Performance
    • Machine Design
    • Photography
    • Graphic Design
    • Book Design
  • ABOUT
  • SDS
    • about
    • article
    • workshop
    • lecture
    • open call
    • exhibition
  • ĆP GALLERY
  • SHOP
  • COLUMN
  • PRESS
  • CONTACT
MENU
CÉLINE PARK STUDIO CÉLINE PARK STUDIO CÉLINE PARK STUDIO
장바구니0
site search
WORK
ABOUT
SDS
ĆP GALLERY
SHOP
COLUMN
PRESS
CONTACT
ABOUT
ONLINE ARTICLE
WORKSHOP
LECTURE
OPEN CALL
EXHIBITION

« Speculative World Building » 라는 타이틀로 작은 전시를 엽니다. 이번 전시는 스페큘러티브 디자인의 선구자인 Dunne & Raby를 비롯하여 Paul Gong, Céline Park, Nonhuman Nonsense의 작업이 소개되며, 동시에 셀린 박이 한예종에서 ‘스페큘러티브 디자인’ 수업을 통해 가르친 학생들 중 Doga Olmez, Michelle Andrea Christie, Youra Hong의 작품도 함께 선보입니다. 특별히 오프닝이 있는 6월 16일 18시에는 셀린박과 그녀의 학생들의 작품 설명 및 토크가 있으니 자유롭게 방문을 부탁드리며 많은 관심 바랍니다. 전시는 단 일주일 동안만 진행되며, 자세한 정보는 아래를 참고해 주세요. • 티켓: 무료 • 기간: 6월 16일 - 6월 22일 • 관람 시간: • 월–금 10:00–18:00 • 토요일 10:00–18:00 • 일요일 15:00–18:00 • 장소: 서울시 강남구 압구정로32길 30, 1층 및 2층 We are pleased to open a small exhibition titled « Speculative World Building ». This exhibition showcases the design project of the pioneers of speculative design, Dunne & Raby, alongside with Paul Gong, Céline Park, and Nonhuman Nonsense. We are also presenting projects by selected students — Doga Olmez, Michelle Andrea Christie, and Youra Hong — from the Speculative Design course taught by Céline Park at K-Arts. The exhibition will be open for a limited duration of one week. Please find the details below: • Admission: Free • Dates: June 16 – June 22 • Opening Hours: • Mon–Fri: 10:00–18:00 • Sat: 10:00–18:00 • Sun: 15:00–18:00 • Venue: 1F & 2F, 30, Apgujeong-ro 32-gil, Gangnam-gu, Seoul

[제주 해녀 동고동락 미니 프로젝트] 📢 오픈콜 종료 안내 ‘제주 해녀 동고동락 미니 프로젝트’에 지원해주신 모든 분들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앞으로 진행될 워크숍과 이후 전시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관심과 성원 부탁드립니다. ♦️참가자 모집 제주의 해녀들과 2주간 동고동락하며 제주 해녀 문화를 탐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래의 유토피아/디스토피아적 상상력을 펼칠 창작 자와 연구자를 모집합니다. 우리는 해녀와 바다의 미래를 상상하 며, 삶의 양식과 존재의 조건을 다시 묻고자 합니다. 본 프로젝트는 제주 해녀와의 2주간의 실제 체류를 기반으로 진행 되며, 참여자는 시나리오 기반의 디자인.예술 작업 또는 인문사회 학적 결과물을 제작하고 서울•제주 전시를 통해 공유하게 됩니다. 숙소, 항공, 교통, 소정의 작업비 지원 포함입니다. ♦️주요 일정 • 온라인 미팅: 2025.06.01-11.30 (주 1회) • 제주 워크숍: 2025.07.01-07.15 (2주간) • 전시: 서울(11월 예정), 제주(하반기 예정) • 모집 마감: 2025.05.23 (금) 23:59 • 지원 방법: 이메일 접수 (PDF 형식) speculativedesignseoul@gmail.com ♦️모집 대상 • 패션/제품/기계디자인, 인문사회, 해양환경 등 관련 분야 창작자 • 스페큘러티브 디자인, 해녀 문화, 바다 생태에 관심 있는 분 • 본인의 지식/경험을 바탕으로 워크숍을 주도할 수 있는 분 ♦️지원 방법 프로필 링크 [Jeju Haenyeo Co-Living Mini Project] 📢 Open Call Closed ♦️Open Call We are seeking creators and researchers to spend two weeks living alongside Jeju‘s haenyeo (women divers), deeply exploring their culture and imagining future utopian/dystopian scenarios based on their way of life. through this project, we aim to reimagine the future of The sea and question the very conditions of life and existence. This project is based on a two-week residency with haenyeo in Jeju. Participants will develop scenario-based design or artistic works, 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research outcomes, which will be shared through exhibitions in both Seoul and Jeju. Accommodation, round-trip airfare, local transportation, and a small production fee will be provided. 📣 Key Dates • Online Meetings: June 1 - November 30, 2025 (once a week) • Jeju Workshop: July 1 - July 15, 2025 (2 weeks) • Exhibitions: Seoul (scheduled for November), Jeju (late 2025) • Application Deadline: May 23 (Fri), 2025, by 23:59 (KST) • How to Apply: Submit by email in PDF format → speculativedesignseoul@gmail.com (The schedule is subject to minor changes.) 📣 Eligibility • Creators in fashion, product, or mechanical desig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marine/environmental studies • Those interested in speculative design, haenyeo culture, or oceanic futures • Applicants who can lead at least one workshop based on their own knowledge or expertise #opencall

Menstruation Machine SPUTNIKO! 2010 이 작업은 정체성, 생물학, 선택의 관계를 탐구하면서 동시에 성별에 따른 의례의 의미를 질문하는 작품이다. 이 금속 장치는 정조대와 비슷한 형태로, 혈액 분출 시스템과 하복부에 자극을 주는 전극이 장착되어 있어 평균적으로 5일 동안 지속되는 월경의 통증과 출혈을 재현한다. 남성, 어린이, 폐경 이후의 여성, 또는 월경을 경험해 보고 싶은 누구든 착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 장치와 함께 전시될 수 있는 뮤직비디오는 타카시라는 인물에 관한 이야기다. 타카시는 월경을 하는 생물학적 여성의 감각을 이해하고 싶어 한다. 그는 Menstruation Machine을 직접 만들어 착용한 채 여자친구와 함께 쇼핑몰을 돌아다니며 때때로 고통에 몸을 움츠린다. 이를 통해 내면적이고 사적인 과정이 정체성을 드러내는 착용 가능한 형태로 변형된다. 1960년대 이후, 호르몬 기반 피임 기술이 발전하면서 배란을 억제하여 월경이 더 이상 생물학적으로 필수적인 과정이 아니게 되었다. Sputniko!는 미래에 월경이 완전히 사라지는 시대가 온다면, 오히려 Menstruation Machine과 같은 장치가 더욱 매력적인 존재가 될 수도 있다고 지적한다. Menstruation Machine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identity, biology, and choice, while also inquiring into the meaning of gender-specific rituals. The metal device, which looks like a chastity belt and is equipped with a blood-dispensing system and electrodes that stimulate the lower abdomen, replicates the pain and bleeding of the average five-day menstruation period. It is designed to be worn by men, children, postmenopausal women, or whoever else wants to experience menstruation. A music video that can be displayed with the device is about Takashi, who wants to understand what it feels like to be a menstruating biological woman. Takashi builds the Menstruation Machine and wears it out on the town with a girlfriend, strutting around a shopping mall and occasionally doubling over in pain. Thus an internal, private process is transformed into a wearable display of identity. Since the 1960s, advances in hormone-based contraception have, by suppressing ovulation, made monthly periods no longer biologically necessary. Sputniko! notes that the Menstruation Machine may be particularly desirable in a future in which menstruation in fact becomes obsolete.

스푸트니코!(Sputniko!)는 과학기술과 젠더, 사회 규범을 주제로 예술과 디자인을 결합해 미래 사회에 대한 비판적 상상력을 제시해온 아티스트이자 디자이너다. 생명공학, 젠더 정치학, 윤리적 딜레마를 다룬 그녀의 작업은 기술이 인간 정체성과 사회 구조를 어떻게 바꿀 수 있는지를 질문한다. MIT 미디어 랩에서 조교수로 재직하며 과학과 예술의 융합 가능성을 연구했고, 현재는 도쿄예술대학 교수로 활동 중이다. 대표작으로는 ‘Menstruation Machine’(2010), ‘Tranceflora’(2015), ‘Moonwalk Machine’(2013) 등이 있으며, 이를 통해 젠더, 유전자 기술, 사회적 금기를 비틀며 기술과 인간의 관계를 새롭게 상상해왔다. 그녀의 작품은 MoMA, V&A, TED 등에서 전시·소개되었으며, 디자인이 윤리적 상상과 사회적 담론을 이끄는 도구임을 강하게 보여준다. Sputniko! is an artist and designer who combines art and design to critically explore future societies through the lenses of technology, gender, and social norms. Her work addresses biotechnology, gender politics, and ethical dilemmas, questioning how technological advancement can reshape human identity and social structures. She served as an assistant professor at the MIT Media Lab, researching the possibilities of merging science and art, and currently teaches at Tokyo University of the Arts. Her notable projects include Menstruation Machine (2010), Tranceflora (2015), and Moonwalk Machine (2013), through which she challenges gender norms, genetic technologies, and societal taboos, offering new perspectiv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technology. Her work has been exhibited and presented at MoMA, the V&A, TED, and more, demonstrating how design can serve as a powerful tool for ethical imagination and social discourse. #Sputniko #스푸트니코 #SpeculativeDesign #스페큘레이티브디자인 #DesignFiction #디자인픽션 #FutureTechnology #미래기술 #GenderPolitics #젠더정치학 #FeministDesign #페미니즘디자인 #MITMediaLab #도쿄예술대학 #BioDesign #윤리적디자인 #지식생산 #문화비평

I Wanna Deliver a Dolphin Ai Hasegawa 2011-2013 인간은 본능적으로 아이를 키우며, 이를 통해 자신의 유전자를 다음 세대에 전달한다. 하지만 오늘날 극심한 인구 과잉과 악화되는 환경 속에서, 아이를 적절한 조건에서 양육하는 것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I Wanna Deliver a Dolphin…’은 과밀한 사회, 무분별한 개발, 그리고 환경 위기의 시대에서 인간의 출산이 어떻게 변화할 수 있는지를 탐구한다. 식량 부족이 심화되고, 세계 인구가 거의 82억 명에 달하는 상황에서, 여성은 멸종 위기에 처한 상어, 참치, 돌고래 같은 종을 자신의 몸으로 잉태하고 출산할 수 있을까? 이 프로젝트는 출산과 식량 수요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우리가 직접 먹을 동물을 출산하는 개념을 제시하며, 이를 실현할 수 있는 기술적 가능성을 탐색한다. 또한, 합성 생물학이 발전한 미래를 가정하여, 인간이 멸종 위기 종을 돕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예를 들어, 인간 여성이 돌고래를 출산할 수 있도록 설계된 ‘돌고래-인간 태반(dolp-human placenta)’이 개발된다면, 인간은 멸종 위기 종의 대리모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나아가, 미식가들은 자신의 몸을 통해 태어난 희귀 동물을 먹는 새로운 형태의 사치를 즐길 수 있게 되는데, 이 과정은 희귀 동물의 소유권과 생명 그 자체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 Humans are genetically predisposed to raise children as a way of passing on their genes to the next generation. For some, the struggle to raise a child in decent conditions is becoming harder due to gross overpopulation and an increasingly strained global environment. I Wanna Deliver a Dolphin… approaches the problem of human reproduction in an age of overcrowding, over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crisis. With potential food shortages and a population of nearly 8.2 billion people, would a woman consider incubating and giving birth to an endangered species such as a shark, tuna or dolphin? This project introduces the argument for giving birth to our food to satisfy our demands for nutrition and childbirth, and discusses some of the technical details of how this might be possible. It also imagines a point in the future, where humans will help this species by the advanced technology of synthetic biology. A ‘dolp-human placenta’ that allows a human female to deliver a dolphin is created, and thus humans can become a surrogate mother to endangered species. Furthermore, gourmets would be able to enjoy the luxury of eating a rare animal: an animal made by their own body, raising questions of the ownership of rare animal life, and life itself. #core77 #aihasegawa #speculativedesign

The Extreme Environment Love Hotel, Carboniferous Room Ai Hasegawa The Extreme Environment Love Hotel은 대기나 중력처럼 눈에 보이지 않지만 항상 존재하는 환경 요소를 조작해, 3억 년 전 지구나 목성 표면처럼 갈 수 없는 장소를 재현한다. 보통 러브 호텔은 은밀한 친밀감을 나누는 곳이지만, 동시에 육체적·정신적으로 강도 높은 활동이 벌어지는 장소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우리가 다양한 환경적 조건 속에서 살아갈 때 우리의 몸은 어떻게 변화하고 적응할 수 있을까? 예를 들어, 고생대 석탄기에는 메가네우라 같은 잠자리 조상들이 높은 산소 농도 덕분에 몸길이가 75cm까지 자랐다고 한다. 이러한 산소 농도는 곤충에게는 축복이나 다름없지만, 우리처럼 연약한 몸을 지닌 존재에게는 독이 될 수도 있다. 최근 통계를 보면, 지금 태어나는 아이 중 약 35%가 체외 수정을 통해 탄생한다고 한다. 환경 변화와 생식 기술의 발전은 성(性)이 무엇이고 또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지를 새롭게 정의한다. 우리의 성은 본능적 욕구와 경향, 그리고 각자의 페티시와 욕망 사이에서 어떤 위치를 차지하는지에 대해 고민하게 만든다. 어쩌면 The Extreme Environment Love Hotel은 인간의 몸과 성에 새로운 진화나 돌연변이가 일어날 여지를 제공한다. 그리고 이는 과거와 완전히 단절된, 전혀 다른 역할을 부여할 수도 있음을 시사한다. The Extreme Environment Love Hotel simulates impossible places to go such as an earth of three hundred million years ago, or the surface of Jupiter by manipulating invisible but ever-present environmental factors, for example atmospheric conditions and gravity. A love hotel is a place for discrete intimacy but also a place for intensive physical and mental exercise. How might our bodies change, struggle or even adapt with varying conditions around us? For example, during the Carboniferous period, ancestors of the dragonfly Meganeura grew up to seventy-five centimeters due to the huge concentration of oxygen in the air, a tremendous boon to the insect but high levels of oxygen would be toxic to our fragile bodies. Recent figures speculate that around 35% of children are now conceived by In Vitro Fertilisation. The world around us and our reproductive technologies have given rise to new ideas of what sex is or could be and where it stands between our biologically-programmed needs and inclinations and our human fetishes and desires. Perhaps the Extreme Environments Love Hotel might give rise to new evolutions and mutations of the human body and sex and give it a brand new role away from any of these historical precedents.

아이 하세가와는 생명과학, 바이오기술, 디자인을 융합하여 인간의 신체적·사회적 조건을 탐구하는 작업을 진행해왔다. 그녀의 프로젝트는 생식 기술, 생태학적 지속 가능성, 생명 윤리와 같은 주제를 다루며, 미래 사회에서 인간과 비인간 존재들이 어떻게 공존할 수 있을지 질문한다. 디자인을 단순한 문제 해결을 넘어 새로운 기술과 윤리적 딜레마를 탐구하고 대중의 인식을 확장하는 강력한 도구로 믿는 그녀는, MIT 미디어 랩에서 미래 생명과학과 디자인의 교차점을 연구했다. 현재는 도쿄 예술대학에서 강의를 통해 차세대 디자이너들에게 생명 중심적 사고방식을 전파하고 있다. 대표적인 프로젝트로는 ‘I Wanna Deliver a Dolphin’(2012), ‘Shared Baby’(2014), ‘Human X Shark’(2017) 등이 있으며, 이를 통해 출산 기술의 확장, 유전자 편집, 종 간의 경계를 넘는 새로운 형태의 관계를 탐구해왔다. 그녀의 작업은 디자인이 단순한 형식적 도구가 아니라 미래 사회를 위한 담론을 형성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아이 하세가와의 프로젝트는 다양한 국제 전시회에서 소개되었으며, 여러 컨퍼런스에서 강연을 통해 미래 생명 디자인에 대한 논의를 확산시키고 있다. Ai Hasegawa has been exploring the intersection of life sciences, biotechnology, and design to investigate the physical and social conditions of human existence. Her projects address themes such as reproductive technology, ecological sustainability, and bioethics, questioning how humans and non-human entities can coexist in future societies. Believing that design is not merely a tool for problem-solving but a powerful medium for exploring new technologies and ethical dilemmas while expanding public awareness, she conducted research at the MIT Media Lab on the intersection of future life sciences and design. Currently, she teaches at Tokyo University of the Arts, guiding the next generation of designers toward a life-centered mindset. Her notable projects include I Wanna Deliver a Dolphin (2012), Shared Baby (2014), and Human X Shark (2017), through which she has explored the expansion of birthing technologies, genetic editing, and new forms of interspecies relationships. Her work demonstrates that design is not just a formal tool but a means of shaping discourse for future societies. Ai Hasegawa’s projects have been showcased in various international exhibitions, and she continues to expand discussions on future bio-design through lectures at numerous conferences. #아이하세가와 #스페큘레이티브디자인 #바이오디자인 #생명윤리 #미래생명과학 #디자인픽션 #생태지속가능성 #유전자편집 #출산기술 #다학제디자인 #MIT미디어랩 #도쿄예술대학 #지식생산 #사회혁신 #디자인철학

The Soyuz Chair Nelly Ben Hayoun 2009 세상은 이제 우주 관광 시대의 문턱을 넘어서고 있다—비록 아직은 소수의 특권이지만 말이다. 무중력 상태를 체험하고, 로켓 발사의 짜릿한 순간을 느끼며, 미지의 세계를 탐험하는 일은 더 이상 SF 영화 속 이야기만이 아니다. 이제 거실에서도 소유즈 로켓의 이륙을 경험할 수 있다. The Soyuz Chair는 소유즈 로켓의 실제 발사 과정을 정밀하게 재현한 체험형 의자다. 발사 자세로 몸을 기울이고, 하늘을 마주한 채 헤드셋을 착용한 뒤 컨트롤 패널을 조작하면, 마치 우주 비행사가 된 듯한 경험이 시작된다. 단일 스테이지만 체험할 수도 있고, 전체 10분간 진행되는 이륙 과정을 단계별로 경험할 수도 있다. 특히 마지막 240초는 가장 강렬한 순간으로, 실제 우주 비행의 극한을 그대로 재현한다. 5...4...3...2...1... 이제, 당신은 어느 행성에 착륙할 것인가? The world is now stepping into the era of space tourism—though still a privilege for a select few. Experiencing weightlessness, feeling the thrill of liftoff, and venturing into the unknown is no longer just a scene from a sci-fi movie. Now, you can experience the launch of a Soyuz rocket right from your living room. The Soyuz Chair is a fully immersive seating experience that accurately recreates the three stages of a real Soyuz rocket launch. Recline into the launch position, face the sky, put on your headset, and operate the control panel to initiate your journey. You can choose to experience a single stage or go through the full 10-minute liftoff sequence, just as astronauts do. The final 240 seconds are the most intense, simulating the sheer force and adrenaline rush of an actual space launch. 5...4...3...2...1... Now, which planet will you land on? #넬리벤하윤 #스페큘레이티브디자인 #디자인픽션 #경험디자인 #우주디자인 #디자인혁신 #TEDx #DesignIndaba #VAMuseum #BarbicanCentre #NationalMuseumOfChina #RCA #SETI #NASA #CERN #미래디자인 #퍼포먼스 #인터랙티브 #사회혁신 #디자인철학

Super K Sonic BOOOOum Nelly Ben Hayoun 2009 이 작업은 아주 작은 입자들이 엄청난 속도로 충돌하는 모습을 상상하고, 입자가 빛보다 빠르게 움직일 때 발생하는 소닉 붐을 경험하는 것이 어떤 느낌일지를 탐구한다. 넬리는 전자와 중성미자가 충돌하며 거대한 폭발을 일으키는 공간인 일본의 중성미자 관측소를 초대형으로 재현하여 만들었다. 이곳에서 관람객들은 특수 헬멧, 흰색 고무 신발, 작업복을 착용하고, 작은 고무보트를 타고 물이 가득 찬 공간을 지나게 된다. 도착한 곳은 은색 풍선으로 가득한 신비로운 환경으로, 그곳에서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를 만나게 된다. 이후 관람객들은 빛과 소리가 어우러진 소닉 붐 쇼를 경험하며, 마치 실제로 입자들이 충돌하는 순간 속에 들어온 듯한 감각을 느낀다. Super K Sonic Booooum은 슈퍼 카미오칸데 실험의 과학 연구팀과 협력하여 제작되었다. 슈퍼 카미오칸데는 세계적으로도 드문 중성미자 관측소 중 하나이며, 이와 같은 실험들은 물리학자들이 우리가 직접 볼 수 없는 차원을 연구하고, 물질과 우주의 근본적인 원리를 이해하려는 노력의 일부이다. *중성미자: 우주를 구성하고 있는 기본 입자들 가운데 아주 작은 질량을 가진, 약력과 중력에만 반응하는 기본 입자이다. 1990년대 말까지 질량이 없다고 생각했으나, 1999년 슈퍼 카미오칸데 실험 이후 여러 실험을 통해 미세하지만 질량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project explores what it would feel like to witness subatomic particles colliding at extreme speeds and to experience a sonic boom, which occurs when a particle moves faster than the speed of light. Nelly created a super-sized version of a Japanese neutrino observatory, simulating the immense explosions that take place when electrons and neutrinos collide. Inside the installation, visitors put on special helmets, white rubber shoes, and protective suits. They then board small dinghies that float through a water-filled space, eventually arriving in a surreal environment covered with silver balloons. There, they encounter a Nobel Prize-winning physicist and experience a spectacular sonic boom of light and sound, creating the sensation of being inside an actual particle collision. Super K Sonic Booooum was developed in collaboration with the scientific team behind the Super Kamiokande experiment. Super Kamiokande is one of the few neutrino observatories in the world. Experiments like this help physicists explore dimensions beyond human perception and deepen our understanding of the fundamental principles of matter and the universe. *Neutrino: A fundamental particle with an extremely small mass that interacts only through the weak force and gravity. Until the late 1990s, neutrinos were thought to be massless, but after the Super Kamiokande experiment in 1999, further research confirmed that neutrinos have a tiny but nonzero mass.

The Other Volcano Nelly Ben Hayoun 2010 The Other Volcano는 넬리 벤 하윤이 디자인한 평범한 가정집 안에 설치되는 거대한 화산 오브제 시리즈이다. 이 작품은 몇 주 동안 지원자들의 생활 공간에 자리 잡으며, 거의 천장에 닿을 만큼 크고 강렬한 존재감을 가진다. 하지만 단순한 조형물이 아니라, 예측할 수 없는 순간에 먼지와 끈적한 물질을 뿜어내는 불안정한 요소를 가지고 있어, 집 안을 엉망으로 만들기도 한다. 프랑스 철학자 장 폴 사르트르는 “타자에게 인식되기 위해, 나는 내 목숨을 걸어야 한다“라고 말했다. The Other Volcano는 이러한 개념에서 출발해, 마치 집 한구석에 자리 잡은 ‘잠든 거인’과 함께 사는 나날을 상상해본다. 조용히 있다가도 갑자기 소리와 진동을 내며 존재감을 드러내는 거인은 흥미로움을 불러 일으키는 동시에 두려운 감정을 자아내기도 한다. 극한의 자극을 추구하는 현대 사회의 범주를 넘어 선 미래에는 예측 불가능하고 위험한 요소들까지도 오락의 일부로 받아들일 수 있다. 이 작품은 극단적으로 경계를 밀어붙이며, 안전하다고 여기는 공간조차 극적으로 변화할 수 있음을 상기시킨다. 또한 이는 단순한 예술적 오브제가 아니라, 우리와 동거하는 요소로서 변화무쌍한 환경 속에서 우리가 어떤 방식으로 적응하고 반응하는지를 시험하는 실험적 장치가 된다. The Other Volcano is a series of large-scale volcanic objects installed inside ordinary homes, designed by Nelly Ben Hayoun. These massive structures remain in the living spaces of volunteers for several weeks, reaching almost to the ceiling and commanding an intense presence. However, they are not just static sculptures—they contain an unpredictable element, randomly erupting to spew dust and sticky substances, sometimes turning the home into a chaotic environment. French philosopher Jean-Paul Sartre once said, “In order to make myself recognized by the Other, I must risk my own life.” Inspired by this concept, The Other Volcano imagines what it would be like to share daily life with a ‘sleeping giant’ in one’s home. This giant remains silent for long periods but suddenly erupts with noise and vibrations, provoking both fascination and fear in those who coexist with it. Beyond the limits of extreme stimulation sought in modern society, the future may accept even unpredictable and dangerous elements as part of entertainment. The Other Volcano radically pushes these boundaries, reminding us that even spaces once considered safe can undergo dramatic transformation. More than just an artistic object, it becomes a cohabitant, an experimental device that tests how we adapt and respond to an ever-changing environment. #넬리벤하윤 #스페큘레이티브디자인 #디자인픽션 #경험디자인 #우주디자인 #디자인혁신 #TEDx #DesignIndaba #VAMuseum #BarbicanCentre #NationalMuseumOfChina #RCA #SETI #NASA #CERN #미래디자인 #퍼포먼스 #인터랙티브 #사회혁신 #디자인철학

넬리 벤 하윤은 NASA, SETI, CERN과 같은 기관과 협력하여 복합적인 과학 개념을 대중에게 쉽게 전달하는 작업을 진행해왔다. 그녀의 프로젝트는 과학, 기술, 퍼포먼스, 대중 문화, 정치적 서사를 결합하여 새로운 형태의 경험을 창출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그녀는 디자인이 단순한 형식적 해결을 넘어 사회적, 철학적, 심미적 질문을 던질 수 있는 강력한 도구라고 믿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방식의 지식 생산과 참여를 유도한다. 넬리는 대표적으로 TEDx와 Design Indaba에서 그녀의 디자인 경험을 주제로 강연을 했으며, 영국의 V&A Museum과 National Museum of China에서 실험적 디자인과 과학·문화 융합을 다룬 전시를 선보였다. 또한, Barbican Centre에서는 기술과 미래에 대한 인터랙티브 전시를, Design Indaba에서는 디자인과 사회적 혁신을 주제로 강연을 진행한 바 있다. 그녀는 RCA의 디자인 인터랙션 프로그램을 통해 스페큘레이티브 디자인과 디자인 픽션 등 다양한 요소를 넘나들며 실험적인 작업을 펼쳐왔다. Nelly Ben Hayoun has collaborated with institutions such as NASA, SETI (Search for Extraterrestrial Intelligence Institute), and CERN, working to make complex scientific concepts more accessible to the public. Her projects merge science, technology, performance, popular culture, and political narratives, focusing on creating new forms of experiential engagement. She believes that design is not just about solving formal issues but is a powerful tool for posing social, philosophical, and aesthetic questions, fostering new modes of knowledge production and participation. Nelly has delivered talks on her design experiences at TEDx and Design Indaba, while also showcasing her experimental design work at institutions such as the Victoria & Albert Museum in the UK and the National Museum of China, where she explored the intersections of science, culture, and design. Additionally, she has presented interactive exhibitions on technology and the future at the Barbican Centre and has spoken on design and social innovation at Design Indaba. She studied at the Royal College of Art (RCA) in the Design Interactions program, where she explored speculative design, design fiction, and various experimental approaches. #넬리벤하윤 #스페큘레이티브디자인 #디자인픽션 #경험디자인 #다학제예술 #우주디자인 #과학과예술 #디자인혁신 #TEDx #DesignIndaba #VAMuseum #BarbicanCentre #NationalMuseumOfChina #RCA #로열컬리지오브아트 #SETI #NASA #CERN #미래디자인 #퍼포먼스아트 #인터랙티브전시 #문화혁신 #실험적디자인 #지식생산 #사회혁신 #디자인철학

* Autonomous Agriculture (자율 농업) Johanna Schmeer Johanna Schmeer의 ’자율 농업‘ 프로젝트는 디자인과 생물 기술을 결합하여 지속 가능한 농업을 위한 혁신에 대한 여러 사회적 이슈를 야기한다. 이 프로젝트는 생물 고분자 및 기타 생물 기반 재료를 사용하여 자연 과정을 모방하는 개념적 제품을 만든다. 기술과 생태의 결합을 통해 지속 가능성에 대한 질문을 제기하며, 기존 농업 관행과 음식 생산 시스템에 대한 사회적, 환경적 비판을 포함한다. 기술이 어떻게 자연과 상호 작용하며 우리의 생활 방식을 변화시킬 수 있는지 탐구한다. 특히 자동화된 시스템이 인간의 노동을 대체하고 자연을 더욱 기계화하는 방식에 대한 윤리적, 철학적 문제를 제기한다. 또한, 이러한 작업은 자원의 분배와 접근성에 대한 논의를 촉발하며, 고급 기술이 특정 지역이나 사회 계층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제공한다. 전체적으로, Schmeer의 작업은 기술과 생태의 통합이 가져올 장단점에 대해 관객들로 하여금 성찰하게 만드는 도구로 작용한다. Johanna Schmeer’s ‘Autonomous Agriculture’ project integrates design with bio-technology to offer innovative solutions for sustainable agriculture. It involves creating conceptual products that mimic natural processes using biopolymers and other bio-based materials. The project raises questions about sustainability through the integration of technology and ecology, including social and environmental critiques of conventional agricultural practices and food production systems. It explores how technology can interact with nature and transform our ways of living. Particularly, it addresses ethical and philosophical issues about automated systems replacing human labor and further mechanizing nature. Additionally, this work provokes discussions about the distribution and accessibility of resources and offers a critical view of how advanced technology impacts specific regions or social strata. Overall, Schmeer‘s work serves as a tool for reflection on the pros and cons of integrating technology with ecology. #speculativedesign #johannaschmeer

* <Bioplastic Fantastic> 2014 Johanna Schmeer ”Bioplastic Fantastic“은 독일 디자이너 Johanna Schmeer(@_johannaschmeer) 가 플라스틱 과사용과 환경 문제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키는 미래지향적 프로젝트이다. Schmeer는 바이오 플라스틱을 통해 미래에 사람들이 영양소를 공급받을 수 있는 가능성을 상상하면서 이 작업을 만들었다. 작품은 바이오 플라스틱이 햇볕, 물, 습기와 같은 요소들과 상호작용하여 인간이 필요로 하는 7가지 필수 영양소를 생성할 수 있는 오브제를 제안한다. 이 프로젝트는 바이오 플라스틱과 생명공학의 접목을 통해, 미래 먹거리를 상상하고 현대인들이 플라스틱 문제를 바라보는 시각에 질문을 던진다. Schmeer는 플라스틱 오염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과 더불어, 이를 대체하려는 노력이 항상 옳은 방향으로 나아가는지 의문을 제기한다. 에코백이나 종이 빨대와 같은 대체재들도 환경에 미치는 실제 영향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Bioplastic Fantastic“은 플라스틱 사용에 대한 우리의 의존성을 성찰하게 하며, 생태계와 인간의 공존을 위한 새로운 사고방식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Bioplastic Fantastic“ by Johanna Schmeer, exploring the overuse of plastics and the environmental concerns surrounding it. Schmeer imagines a future where bioplastics could supply essential nutrients to humans, creating objects that generate seven key nutrients when exposed to sunlight, water, and humidity. The work raises questions about how we view plastics and the environmental issues linked to them, suggesting that bioplastics might offer a futuristic way to nourish humans. Schmeer also questions whether current efforts to replace plastics are truly effective. Even eco-friendly alternatives like tote bags and paper straws have environmental impacts that need further scrutiny. ”Bioplastic Fantastic“ encourages a reevaluation of our dependence on plastics and highlights the need for a shift in how we approach sustainability and coexistence with the ecosystem.

조하나 슈미어(Johanna Schmeer)는 기술, 생물학, 그리고 스페큘러티브 디자인을 융합하여 살아있는 유기체와 인공 시스템 간의 복잡한 관계를 탐구하는 저명한 디자이너이다. 영국 왕립예술대학(RCA) 디자인 인터랙션 프로그램을 졸업한 슈미어는 생명, 기술, 소비에 대한 기존 개념에 도전하는 사고를 자극하는 프로젝트들로 잘 알려져 있다. 슈미어는 다양한 작업을 통해 인간 생활에 대한 최신 기술의 영향을 자주 탐구하며, 특히 합성 생물학 및 소재 과학이 미래를 어떻게 재정의할 수 있을지에 대해 고민한다. 그녀의 대표작 중 하나인 <Bioplastic Fantastic> (2014)은 합성 생물학적 객체들이 인간을 위해 음식, 에너지, 그리고 심지어 약품을 생산하는 미래를 상상하며, 이러한 발전이 초래할 윤리적, 사회적 영향을 질문한다. 슈미어의 작품은 런던 현대미술연구소, 스톡홀름 국립박물관, 베니스 건축 비엔날레, 그리고 린츠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센터 등 전 세계적으로 전시되었으며, 스페큘러티브 디자인 분야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녀는 현재 베를린을 기반으로 디자인, 과학, 사회의 교차점을 더욱 탐구하는 협업적이고 학제 간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경계를 넓혀가고 있다. 앞으로 매주 월요일마다 그녀의 혁신적인 프로젝트를 소개할 예정이다. Johanna Schmeer is a renowned designer who merges technology, biology, and speculative design to explore the complex relationships between living organisms and artificial systems. A graduate of the RCA Design Interactions program, Schmeer has become well-known for her thought-provoking projects that challenge conventional notions of life, technology, and consumption. Schmeer frequently investigates the implications of emerging technologies on human life, particularly how synthetic biology and material science might redefine our future. One of her most acclaimed projects, <Bioplastic Fantastic> (2014), envisions a future where synthetic biological objects produce food, energy, and even medicine for human consumption, questioning the ethical and social ramifications of such advancements. Schmeer’s work has been exhibited globally, including at the Institute of Contemporary Arts in London, the National Museum Stockholm, the Venice Biennale of Architecture, and Ars Electronica Center Linz, establishing her as a leading figure in speculative design. She continues to push boundaries from her base in Berlin, where she engages in collaborative and interdisciplinary projects that further explore the intersections of design, science, and society. We will delve into her innovative projects in our upcoming weekly posts every Monday. #조하나슈미어 #JohannaSchmeer #생물학 #합성생물학 #스페큘러티브디자인 #디자인인터랙션 #디자인 #기술 #미래 #예술 #바이오디자인 #베를린

스페큘러티브 디자인의 선구자인 앤서니 던과 피오나 라비의 신작, “Not Here, Not Now”는 변화하는 현실의 본질과 그것이 디자인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다. 이 책은 저자들이 안정적이고 공유된 현실로 여겨졌던 것이 점차 해체되는 것처럼 느껴졌던 시기에 구상되었다. 불가능하거나 비현실적이라고 여겨졌던 많은 것들이 실제로 가능해지고 현실화되는 현상을 보면서, 그들은 현실 자체가 점점 더 비현실적으로 느껴지는 시대에 디자인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 질문하기 시작했다. 던과 라비는 이러한 변화가 디자인 상상력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며, 전통적으로 명확한 경계가 현실과 비현실, 가능과 불가능을 구분 짓는 방식을 재고한다. 이 책은 철학적 성찰, 과학의 경계, 문학적 상상, 그리고 역사의 변화를 탐구하며 그들이 만난 아이디어와의 상호작용을 디자인의 형태로 표현하는 일종의 개념적 여행기이다. 궁극적으로, 이 책은 현재 여러 측면에서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는 현실의 한계를 넘어서는 디자인 상상력에 관한 것이다. 점점 더 파편화되고 붕괴된 현실 속에서, 디자이너와 사상가들이 새로운, 아직 알 수 없고 상상할 수 없는 현실에 대비할 수 있도록 준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프로필에서 구매 링크 확인이 가능하며 출간일은 2025년 5월 예정이다 As pioneers of speculative design, Anthony Dunne and Fiona Raby’s new book, “Not Here, Not Now,” delves into the shifting nature of reality and its implications for design. The book emerged during a period when the authors perceived that what was once considered a stable and shared reality began to unravel. They observed that ideas and scenarios once thought impossible or unlikely were becoming real, prompting them to question what it means to design in an era where reality itself feels increasingly unrealistic. Dunne and Raby explore how these changes impact the design imagination, traditionally constrained by clear boundaries separating the real from the unreal, the possible from the impossible. The book is a conceptual travelogue, bringing together words, images, and objects that represent the philosophical reflections, scientific edges, literary imaginations, and historical shifts they encountered in their journey. Ultimately, the book is about expanding the design imagination beyond the confines of a reality that is increasingly contested and fractured. It seeks to prepare designers and thinkers for new, unknowable, and even unimaginable realities, reflecting on how design can evolve as reality itself changes. Design Credit: @kellenbergerwhite - the typeface is their KW Museum mono. Vegetable Lamb CGI by @carolyn__kirschner. Find the link in bio and the due out in May 2025 #스페큘러티브디자인 #앤서니던 #피오나라비 #NotHereNotNow #디자인철학 #현실과상상 #디자인책 #철학적디자인 #창의적사고 #미래디자인 #디자인상상력 #비판적디자인 #MIT프레스 #디자인연구 #디자인과사회 #책추천 #출간예정

* <Genetic Heirloom - Part III> 2010 Revital Cohen <Genetic Heirloom>은 가족 관계 속 유전적으로 상속되는 정서적, 심리적 함의에 대한 이해가 우리의 행동과 도덕에 어떤 변화를 일으킬 수 있을지 고민한다. Part III. 죄책감 조정기 ‘죄책감 조정기’는 유전적 돌연변이를 가족으로부터 물려받지 않은 사람에게 가보로 주어지는 가상 디바이스이다. 신체적으로는 질병을 피했지만, 이는 사실상 가족 내러티브에서 배제된 것이기도 하다. 이 기기는 신체적으로 질병이 없는 사람이 다른 가족 구성원의 심리적 상태를 간접적으로 경험할 수 있게 하여, 일반적으로 돌연변이 유전자 보유 가족 내에서 비보유자 자녀가 가질 수 있는 죄책감을 완화시켜준다. 디바이스는 총 두가지 전구로 구성되어 있다. 둘 중 하나는 콜로이드성 금 독이 들어 있고, 다른 전구에는 해독제(디메르카폴-킬레이션 요법)가 들어 있으며, 둘을 번갈아가며 사용이 가능하다. 바늘을 손목에 연결하여 다른 가족들과 심리적으로 동일한 상태를 경험할 수 있다. 때에 따라 필요할 때 주사할 수 있는 해독제 또한 마련되어 있다. 이 과정은 개인의 죄책감의 정도에 따라 원하는 횟수만큼 반복할 수 있다. Part III. Guilt Adjuster The guilt adjuster is given as an heirloom to a child who did not inherit the genetic mutation. Although they have physically avoided the disease, they are effectively excluded from the family narrative. Within families that carry the mutant gene, the non-carrier child often suffers from survivor’s guilt, as guilt is a way of validating family responsibility through compassion. It presents the user with a cycle: one bulb contains colloidal gold poison, while the other contains the antidote (dimercapol – chelation therapy). One bulb contains colloidal gold poison, and the other contains an antidote (dimercapol - chelation therapy). The child can connect his wrist to the needle and psychologically experience the same condition as the rest of the family. The process can be repeated as many times as desired, depending on the individual‘s level of guilt. #레비탈코헨 #revitalcohen #생물학 #인류세 #진화론 #사회 #디자인 #design #designinteractions #speculativedesign #스페큘러티브디자인 #스페큘레이티브디자인

<Genetic Heirloom - Part II> 2010 Revital Cohen <Genetic Heirloom>은 가족 관계 속 유전적으로 상속되는 정서적, 심리적 함의에 대한 이해가 우리의 행동과 도덕에 어떤 변화를 일으킬 수 있을지 고민한다. 2. 개입주의 치료사 만약에..가족내에 특정 암을 유발시키는 유전자가 발견된다면 그것을 통제하는 기술은 어떤 모습일까? 코헨은 ‘유전적 돌연변이’와 그 영향을 제거하기 위해 가상적 시나리오와 기술을 구현했다. 이 오브제는 유전적 돌연변이를 운명적으로 받아들이는 가족들을 위한 것이다. 이것은 내부에 용해된 유전적 금과 나노금 농축 화학 요법 사이클을 측정, 혼합 및 투여하는 데 필요한 장비(TNF, PNG 및 자기 소용돌이 메커니즘 측정 깔때기)가 들어 있다. 형태적으로는 배꼽에 삽입하도록 설계된 맞춤형 바늘이 있는데, 이것은 의식적으로 모성애를 강조했다. 이는 부모가 돌연변이 유전자를 의도적으로 통제하며 암을 대항하는 역할로써, ‘자연을 통제하는 책임감 있는 개인’으로 묘사했다. 또한 이 프로젝트는 유전자가 환경의 영향을 받는다고 주장하는 후성유전학(epigenetic)과도 관련이 있다. 대기(Atmosphere)를 통해 유전자를 제어하려는 이 시도는, 각각 뿔과 펌프에 부착된 혈관 구조로 된 오브제가 소리와 향기를 방출하고 항균 나노실버 입자를 실내에 분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Genetic Heirloom> contemplates how our understanding of th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implications of genetically inherited traits within family relationships might influence our behavior and morality. THE INTERVENTIONIST HEALER What if… a gene responsible for causing a specific type of cancer is discovered within a family? What would the technology to control it look like? Cohen created a hypothetical scenario and technology to eliminate ’genetic mutations‘ and their effects. This object is designed for families destined to inherit genetic mutations. It contains the equipment necessary to measure, mix, and administer a cycle of dissolved genetic gold and nano-gold concentrated chemotherapy (including TNF, PNG, and a magnetic vortex mechanism measurement funnel). Morphologically, it includes a custom-made needle designed to be inserted into the navel, consciously emphasizing maternal instincts. This portrays parents as intentionally controlling the mutant gene and taking on a role in combating cancer, described as ’responsible individuals controlling nature.‘ This project is also related to epigenetics, which asserts that genes are influenced by the environment. This attempt to control genes through the atmosphere involves an object with a vascular structure attached to a horn and pump that emits sounds and scents while dispersing antibacterial nano-silver particles into the indoor environment. #레비탈코헨 #revitalcohen #생물학 #진화론 #designinteractions #speculativedesign

<Genetic Heirloom - Part I> 2010 Revital Cohen <Genetic Heirloom>은 유전 정보가 신체와 정체성, 개인을 둘러싼 사회적 관계가 어떻게 재구성될 수 있는지 탐구한다. 특히 유전 정보의 정서적, 심리적 함의에 초점을 맞추어 유전자에 대한 이해가 우리의 행동과 도덕에 어떤 변화를 불러일으킬 수 있을지 살핀다. 대대로 유전 상속되는 금과 은 오브제는 암 유전자와 마찬가지로 세대를 이어 유산으로 물려받게 된다. 이 상속 오브제는 의학적으로 활용되는 나노금 입자를 기반으로 하며 ’유전적 책임‘이라는 새로운 도덕 규범을 형성한다. 앞으로 3주간 위에서 언급한<Genetic Heirloom>의 세 가지 연구를 순차적으로 소개할 예정이다. 1. 공개 상자 알 권리는 유전 정보 윤리를 둘러싼 논쟁의 핵심 주제 중 하나이다. 판도라에서 영감을 받은 상자는 유전 정보에 대한 알 권리를 아이에게 전달한다. 자녀가 상자를 열면 유전 정보가 담긴 금 오브제와 함께 부모의 음성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Genetic Heirloom> explores how genetic information can reshape the body, identity, and social relationships surrounding individuals.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implications of genetic information, it examines how our understanding of genes can change our behavior and morality. Gold and silver, much like a number of genetic cancers, are traditionally passed down the generations as inheritance. This series of speculative heirloom objects is based on the medical applications of nanogold particles and responds to the new moral codes of ‘genetic responsibility’. 1. DISCLOSURE CASE The right to know is one of the key themes in the debate surrounding the ethics of genetic information. The Pandora-inspired box communicates the child’s right to know about their genetic information. When the child opens the box, they find a golden object with their genetic information, along with a voice message from their parents. #레비탈코헨 #revitalcohen #생물학 #인류세 #진화론 #사회 #디자인 #design #designinteractions #speculativedesign #스페큘러티브디자인 #스페큘레이티브디자인

<PHANTOM RECORDER> 환상 기록장치 2010 Revital Cohen 이 프로젝트는 신체 일부를 잃었으나 해당 부위에 감각을 느끼는 환상통을 겪는 사람들을 장애로 여기고 교정과 치료를 통해 고치려는 경향을 지적하고, 오히려 그것을 우리 몸의 시적인 기능의 잠재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로 삼을 것을 제안한다. 팔다리를 잃으면 우리의 정신은 종종 환각을 경험한다. 이에 대한 치료는 오직 실용적인 ‘회복’에만 집중하기 때문에 우리 몸의 시적(poetic) 기능을 간과한다. 그러나 환각을 기록하고 보관하여 요청할 때 깨울 수 있다면 어떨까? 이 프로젝트에서 환상통의 소유자는 다른 사람에게는 보이지 않는 독특한 개인장치를 부여받고 특별한 초능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환상 기록장치>의 새로운 말초 신경 인터페이스는 재생 축삭이 내장된 전극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채널로 성장한다. 이 신경 임플란트는 감각과 움직임 활동을 기기에 기록할 수 있게 해준다. 이 기술을 이용해 마음의 환상을 기록할 수 있을까? 상상력을 신경을 통해 포착할 수 있다면 어떨까? 보철물을 착용하면 기록된 환각 데이터가 전송되어 신경이 팬텀 손, 네 번째 발 또는 갈라진 팔의 감각을 재현할 수 있다. <환상 기록장치>는 피부 표면에 차갑고 축축한 감각을 투사하여 뇌가 환각을 경험하도록 유도한다. 그리고 팬텀의 움직임이 말초 신경을 자극하면 신경 임플란트와 외부 무선 기계에 의해 그 활동이 포착된다. 보철물을 착용하면 기록된 팬텀 감각의 데이터가 임플란트로 전송되어 신경이 텔레스코픽된 팬텀 손, 네 번째 발 또는 갈라진 팔의 감각을 재현할 수 있다. This project points out the tendency of people who have lost a body part but still have sensation in that area to view phantom pain as a disorder, to be fixed through correction and therapy, and instead proposes to use it as an opportunity to unleash the potential of our body‘s poetic function. When we lose a limb, our minds often experience a phantom sensation. Treatment for this often focuses solely on practical ”recovery“ and overlooks the poetic function of the body. But what if you could record and archive your illusions so that they could be awakened on demand? In this project, the phantom owner is given a unique personal appendage that is invisible to others and gives them extraordinary hyperabilities. A novel peripheral nerve interface allows regenerating axons to grow into microchannels incorporating embedded electrodes. This neural implant enables sensations to be inserted to the device, or for activity to be recorded from movements. Could we use this technology to record illusions of the mind? What if our imagination could be captured through our nerves? When the prosthetic is worn, the recorded hallucination data is transmitted, allowing the nerves to recreate the telescoped phantom hand, the fourth feet or the split arm.

<Life Support> Revital Cohen 2008 만약… 동물이 의료 기기를 대체한다면? DIALYSIS SHEEP 이 프로젝트는 양이 현재 사회에서 인정하는 가치와 능력을 넘어 새로운 가능성을 탐구하는 미래적인 연구이다. 코헨은 신부전으로 고통받는 환자가 매일 저녁 양으로부터 혈액을 공급받는 상황을 연구하고 연출한다. 이 프로젝트는 그러한 미래를 희망하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미래를 연출함으로써 현대 사회의 여러 이슈를 비판적으로 고찰할 수 있게 하는 스페큘러티브 디자인 작업이다. 환자의 혈액 샘플 중 혈액 생성과 면역 반응을 코딩하는 유전물질을 잘라낸다. 그런 다음 양에서 채취한 체세포의 핵에서 유전물질을 추출하여 양 게놈의 해당 영역을 대체한다. 이 재조합 DNA를 양의 난자 세포의 핵에 삽입하여 대리모 암소에 이식한다. 대리모 암소는 형질 전환된 양을 출산한다. 낮에는 양이 환자의 뒷마당에서 자유롭게 돌아다니며 풀을 뜯고, 소금, 미네랄, 칼슘, 포도당이 함유된 물을 마시며 신장을 정화한다. 밤이 되면 양은 환자의 침대 옆에 있는 특수 플랫폼에 놓이고, 형질 전환 양의 신장은 혈관을 통해 환자의 피스툴라(수술로 확대된 정맥)에 연결된다. 밤에는 연동 펌프가 환자의 혈액에서 노폐물을 제거하여 양의 신장을 통해 체외로 배출하고, 깨끗해진 혈액을 환자에게 돌려보낸다. 이 과정은 밤새 반복되며, ‘깨끗한’ 혈액이 체내로 돌아올 때마다 혈액은 순환하는 과정에서 더 많은 노폐물을 걸러내고, 새로 수집된 독소를 다시 양의 신장으로 가져와 제거한다. 양은 독소를 소변으로 배출한다. DIALYSIS SHEEP This project is futuristic research that explores new possibilities beyond the value and abilities recognized by society in sheep. Cohen studied and staged a situation where patients suffering from kidney failure receive blood from sheep every evening. This project does not aim to hope for such a future but uses the depiction of such a future to critically examine various issues of modern society through speculative design. Genetic material from a patient’s blood sample is cut out of the regions that code for blood production and immune response. They then extract genetic material from the nuclei of somatic cells taken from sheep to replace the corresponding regions of the sheep genome. This recombinant DNA is inserted into the nucleus of a sheep egg cell and implanted into a surrogate ewe. The surrogate ewe gives birth to a transgenic lamb. During the day, the sheep roams freely in the patient’s backyard, grazing on grass, drinking water, and purifying its kidneys. At night, the sheep is placed on a platform next to the patient’s bed, and the its kidneys are connected to the patient’s fistula through blood vessels. During the night, a peristaltic pump removes waste from the patient’s blood, filters it through the sheep’s kidneys, and returns the purified blood to the patient. This process repeats throughout the nicht, with the sheep excreting the toxins through urine.

<Life Support> Revital Cohen 2008 만약… 동물이 의료 기기를 대체한다면? <Life Support>는 인간의 이기심을 위해 상업적으로 사육되는 동물에 대해 비판적인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이 작업에서는 그런 동물들이 은퇴 후 안락사에 처해지는 운명에 반하여, ‘대체 장기 제공 동물’로서 제2의 삶을 사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형질전환 농장 동물이나 경주, 도그 쇼, 헌팅 대회 등에서 은퇴한 강아지들을 신장 및 호흡기가 필요한 환자를 위한 생명 유지 ‘장치’로 사용하는 것은 비인도적인 의료 요법에 대한 대안 시나리오다. 형질전환 동물이 단순히 부품을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생물 전체 메커니즘으로 기능할 수 있을까? 인간이 기생충이 되어 다른 유기체의 신체 기능으로 살아갈 수 있을까? RESPIRATORY DOG 그레이하운드는 경마 산업에 의해 사육된다. 순종 부모의 교배로 태어나, 생후 12개월 동안 미끼를 쫓는 훈련을 받는다. 이후 3~5년 동안은 매주 경주에 출전해 수익을 창출한다. 그레이하운드는 5세 이전에 경마장에서 은퇴한다. 이 개는 안락사 대신 ‘호흡 보조견’이 되기 위한 무료 훈련을 받는다. 훈련이 끝나면 그레이하운드는 기계식 인공호흡기에 의존하는 환자에게 입양되어 호흡기 ‘장치’로서 두 번째 경력을 시작한다. 그레이하운드와 새 주인은 서로의 생명을 유지하면서 상호 의존하는 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그레이하운드는 폐의 움직임을 기계식 환기로 전환하는 하네스를 착용한다. 경주용 사육장에서 자란 그레이하운드는 보통 은퇴 후 분리불안을 겪는다. 도우미견은 기관 튜브로 주인과 항상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절대 혼자 두지 않는다. What if animals become medical devices? Unlike machines, ‘assistance animals’ can establish natural symbiotic relationships with patients, ranging from guide dogs to therapy cats. <Life Support> delivers a critical message about animals that are commercially bred. This work proposes a system in which such animals, instead of facing an uncertain fate after retirement, live a second life as ‘alternative organ donor animals.’ The scenario presents using transgenic farm animals or retired dogs(from racing, dog shows, hunting competitions, etc.) as life support ‘devices’ for patients in need of kidneys or respiratory assistance as an alternative to inhumane medical therapies. Can transgenic animals function as entire biological mechanisms rather than simply supplying parts? Can humans live parasitically, utilizing the bodily functions of other organisms? RESPIRATORY DOG Greyhounds are bred by the racing industry. Born from the mating of purebred parents, they are trained to chase lures during the first 12 months. For the next 3-5 years, they live in kennels and race weekly to generate profits. Instead of being euthanized, greyhounds receive free training to become ‘respiratory assistance dogs.’ After training, the greyhounds are adopted by patients who rely on mechanical ventilators, starting their second career as a respiratory ‘device.’

레비탈 코헨은 디자인을 통해 기술과 생물학을 복합적으로 사용하며 작업하는 디자이너로 알려져 있다. 그녀는 과거 여러 스페큘러티브 디자인 프로젝트를 통해 동물과 인간 관계를 연구하며 다수의 가상 의료기기를 디자인했다. 그녀는 이를 통해 여러 사회적 이슈를 비판적으로 검토하며, 전통적인 개념을 해체하는 도발적인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했다. 그녀의 대표적인 프로젝트 중 하나인 ”인공 생물 시계“(2008)는 산부인과 의사와 금융 고문 등으로부터 온라인 정보를 받아 사용자가 임신할 준비가 되었을 때 알림을 주는 장치이며, ’현대 기술과 사회적 압박이 생물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고민하며 작업했다. 그녀의 작품은 뉴욕의 MoMA, 런던의 Wellcome Collection 등 국제적으로 전시되며, 전 세계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녀는 영국 왕립예술대학에서 디자인 인터랙션(Design Interactions) 석사를 전공했으며, 현재 반 발렌(Tuur Van Balen)과 함께한 공동 스튜디오를 통해 런던을 기반으로 활동하며 실험적 예술 및 디자인을 창작하고 있다. 앞으로 매주 월요일마다 그녀의 작품을 소개할 예정이다. Revital Cohen is known as a designer who uses technology and biology in her work through speculative design projects. She has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animals and humans by creating various fictional medical devices. These projects critically examine social issues and deconstruct traditional concepts through provocative scenarios. One of her notable projects, the ”Artificial Biological Clock“ (2008), is a device that receives online information from obstetricians and financial advisors to alert the user when she is ready to conceive, reflecting on how modern technology and societal pressures impact biology. Her work is exhibited internationally, including at MoMA in New York and the Wellcome Collection in London, making a significant global impact. She holds a master‘s degree in Design Interactions from the Royal College of Art in London. Currently, she collaborates with Tuur Van Balen in a joint studio based in London, where they create experimental art and design. We will introduce her projects on our feed every Monday starting from the coming week. #레비탈코헨 #revitalcohen #생물학 #인류세 #진화론 #사회 #디자인 #design #designinteractions #speculativedesign #스페큘러티브디자인 #스페큘레이티브디자인

* <Synthetic Kingdom> 2009 Daisy Ginsberg 우리는 생명체의 어떤 면을 자연스럽거나 부자연스럽다고 생각할까? <Synthetic Kingdom>은 완벽히 인공적으로 대체된 신체 내부를 보여준다. 합성 생물학의 원칙과 기술을 디자인과 결합해서 생명체를 제어하는 이 기술은, 생명체의 기존 특성을 복제 - DNA 조작 - “생물학적 틀(chassis)①”에 삽입하는 과정을 거친다. 데이지 긴스버그는 이 인공 신체가 자체적으로 에너지를 만들고, 매연을 씻어내고, 스스로 치유하는 기능을 갖도록 만들었다. 이 작품은 이런 질문을 던진다. 우리의 육신이 분자적 상호작용으로 단순화 된다면 우리의 감각이 저하될까? 긴스버그는 합성생물학이라는 지극히 인공적인 모습 속에서 자연스러움을 찾는 사회적 분위기를 비관적으로 바라본다. 그녀는 생명체의 형태와 기능을 재설계하고 인간과 자연의 경계를 허무는 작업을 통해, 이러한 기술이 사회, 환경 및 윤리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탐구한다. 이는 ‘지속 가능한 연료’부터 ‘종양을 죽이는 세균’등 합성 생물학이 바꾸고자 하는 세계에 대한 비판적 사고를 드러낸다. ① 생물학적 틀: 생명체를 제작하는 데 사용되는 기본적인 구조, 인공적 생명체를 창조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How will we classify what is natural or unnatural when life is built from scratch? Ginsberg approached her project with a pessimistic view towards the societal inclination to find naturalness within the highly artificial realm of synthesis. The ”Synthetic Kingdom“ proposes a revolutionary design approach by combining the principles and techniques of synthetic biology with design. It involves replicating traits of existing organisms through synthetic biology, manipulating DNA, and inserting it into a biological framework known as the ”biological chassis①“ to create fully artificial internal structures. Ginsberg‘s project aimed to imbue functionalities such as self-energy production, pollution filtration, and self-healing capabilities. Through this endeavor, Ginsberg questions whether our sensory perception would deteriorate if our physical being were simplified to molecular interactions. Essentially, through innovative attempts to blur the boundaries between humans and nature and recreate new forms and functionalities of organisms, Ginsberg explored the impact of such technology on society, the environment, and ethics. By critiquing the notion of using synthetic biology to change the world, ranging from sustainable fuels to tumor-killing bacteria, she demonstrates a critical mindset. ① Biological chassis: The fundamental structure used in creating organisms, signifying the technology of creating artificial organisms.

* <Growth Assembly> 2009 Daisy Ginsberg 합성 생물학(Synthetic Biology)은 인간에게 필요한 것을 자연적 요소를 사용하여 생산할 수 있도록 연구한다. 데이지 긴스버그는 이러한 상황을 고안해서, DNA를 코딩한 식물을 제품의 부품 형태로 키우는 아이디어를 제시한다. 이 시나리오에서 가게는 공장 농장으로서 허가를 받아, 식물을 기호에 따라 필요한 제품으로써 대량 제작 및 판매하고, 경제적 소요를 최소화함으로 산업 표준의 개념을 반전하여 제조업의 상황을 역전하는 상황을 제시한다. 이 프로젝트는 글로벌 배송을 위한 에너지 비용 상승 탓에 원자재나 포장된 상품 배송이 경제적으로 불가능해지면서, 보편적 대량 생산품은 접근이 부유층에 국한되어 일어났던 당시(2009년)에 여러 사회경제적 상황을 비판적인 관점으로 해석해 디자인했다. After the cost of energy had made global shipping of raw materials and packaged goods unimaginable, only the rich could afford traditional, mass-produced commodities. Synthetic biology enabled us to harness our natural environment for the production of things. Coded into the DNA of a plant, product parts grow within the supporting system of the plant’s structure. When fully developed, they are stripped like a walnut from its shell or corn from its husk, ready for assembly. Shops evolved into factory farms, with licensed products grown where sold. Large items take time to grow and are more expensive while small ones are more affordable. The postal service delivers lightweight seed-packets for domestic manufacturers. Using biology for the production of consumer goods has reversed the idea of industrial standards, introducing diversity and softness into a realm that once was dominated by heavy manufacturing. The product shown here is the Herbicide Sprayer, an essential commodity used to protect delicate engineered horticultural machines from older nature that can naturally defend itself After the cost of energy had made global shipping of raw materials and packaged goods unimaginable, only the rich could afford traditional, mass-produced commodities. #데이지긴즈버그 #daisyginsberg #syntheticbiology #인공지능 #합성생물학 #보존 #생물다양성 #인류세 #진화론 #사회 #디자인 #design #designinteractions #speculativedesign #스페큘러티브디자인 #스페큘레이티브디자인

더보기
SNS 바로가기

Céline Park

© All rights reserved by Céline MinKyung Park since 2014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